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4

청소기로봇의 지도 만들기 삼성전자 하우젠 VC-RE70V 2시간 충전하여 90분 사용이 가능한 청소로봇. 이는 서울대학교 이경무 교수가 개발한 위치인식 기술인 CV-SLAM (Ceiling-Vision bas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을 이용하여 청소는 효율적으로, 충전은 찾아가서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냥 막 달리는 것이 아니란 얘기다.) 아래는 이 로봇이 지도를 만들어가는 원리를 보여주는 동영상이다. 이후에도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현재는 바닥면만 인식 하는 것이 아니라 조명, 벽면의 특징들 까지 함께 인식하여, 손으로 들어 다른 곳에 놓아도 자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해야되는 공부는 많고, 시간은 자꾸만 흘러가고, 나의 서른살은 그렇게 불안 섞인 기대로 가득하다. 2009. 5. 21.
큐빅퍼즐(Rubik's Cube) 맞추는 로봇 두 개의 카메라, 로봇 팔을 이용하여 큐브를 손으로 잡고, 큐빅퍼즐을 풀어 나가는 로봇의 모습이 사뭇 진지하다. 인간 세계 신기록 보유자가 10초이고, 이 로봇의 기록이 26초임은 감안할 때 적어도 아직은 겁낼 필요 없이 두 발 뻗고 누워자도 되겠단다. 아래는 작년 모대학 학부생인 이시형, 전철주 두 사람의 훌륭한 졸업작품인데 앞서 소개한 로봇의 원리를 잘 볼 수 있도록 멋지게 구현해 두었다. (이런 분들은 어느 회사 또는 어느 연구소에서 멋진 일들을 하고 있을까?)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색상을 인식하고, 이를 풀어 나가는 과정이 재미있다. 사람도 풀기 힘든 퍼즐을 컴퓨터에게 빼앗기는 것 같아 씁쓸하지만, 예전에 공부하려고 찾아둔 퍼즐 푸는 방법을 보며 위안을 삼는다. 이건... 뭐.. 알아도 못하.. 2009. 5. 21.
증강현실을 이용한 빠르고 현실적인 디자인 프로세스 HCI2008 학회에서 발표된 데모 동영상. 개발 목적 : 사용자, 즉 디자이너에게 스크린뿐만 아니라 더욱 친숙한 View를 제공 재조립가능한 Mockup을 이용함으로써 한층 향상된 현실감 제공 작성자 : jjinyoon 출처 : 대한민국 최고의 영상처리 커뮤니티 OpenCV 2009. 5. 20.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 내가 Warcraft를 잘 하지 않는데다가, 그다지 게임 역시 즐기는 편은 아니라 - 스타크래프트랑 위닝 제외 게임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는 잘 모르겠으나, - 와우를 즐기는 선배 한사람이 장면장면 설명하는데 완전 신기했다. 기술적인 면만 두고 봤을 때 좋은 시도인 것 같아 소개한다. 주요 구현 기능들로, 마커인식, ARToolKit의 사용, 객체끼리 부딪혔을 때 이벤트 생성 등이 있다. Warcraft of Irrlicht-Network Augmented Reality Game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 WINAG( Warcraft of Irrlicht Network Augmented Reality Game )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이다. 기존 증강현실이 Web-cam으로 .. 2009. 5. 20.
진해역 벌써 여름이 오는지, 낮에는 이마에 땀이 송글송글 맺힐 정도로 기온이 제법 높다. 쨍~ 하게 눈부신 햇살아래, 오가며 스쳐지나기만했던 그 건물이, 문득 참 아름다워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20090505 @ 진해역. 2009. 5. 19.
닭똥집 튀김 만들기 닭똥집 튀김 학부생시절, 멕시칸치킨이라는 호프집에 가면 단지 기본안주에 지나지 않는 흔한 음식이었는데,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더니 이건 뭐 정작 먹고 싶어 찾아다녀도 잘 찾기가 힘들다. 하루는 선미네 집에 닭똥집이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부랴부랴 달려가 술안주를 만들었드랬다. 재료라고 할 것도 별로 없다. 밀가루도 튀김가루도 없어서 그냥 부침가루 풀어서 후추, 소금 등으로 간을 한뒤.... 튀겼을 뿐........ 고놈.... 참... 맛있었다. 2009.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