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5

Augmented-Reality Navigation Displays GM Turning Car Windshields into Augmented-Reality Navigation Displays 차량 주행에 도움을 주는 비전기술/디스플레이기술/증강현실의 집합체 적외선센서, 카메라, 레이다, 야간영상용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 시선인식, 차선인식, 주변건물인식, 표지판 인식 등의 기능을 수행 운전자에게 안정성(차선, 표지판 표시/도로주변의 동물 표시)을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운전 습관을 바꿀 수(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2010. 3. 23.
실시간 얼굴 추출 프로그램 [Update 2012.11.3] 별거 없는 프로그램인데 많은 분들이 소스코드를 요청해 주셔서 첫 포스팅 32개월만에 프로그램 소스를 공유합니다. 안타깝게도 아래 동영상의 데모프로그램은 없고 배포용으로 제작했던 라이브러리의 소스파일만 존재하네요. 얼굴 추출 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OpenCV Adaboost 알고리즘 이용 정면얼굴을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프로그램 다음 단계는 추출된 얼굴을 초기값으로 하여, CAM-SHIFT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 배경은, 신혼집. 나의 작업공간이자, 녹음실이자, 공부방이자, 우리 부부 두사람이 잠을 자는.......... 안방입니다. 2010. 3. 12.
The Dizzying Future Of Augmented Reality, Envisioned Augmented (hyper)Reality: Domestic Robocop from Keiichi Matsuda on Vimeo. 2010. 3. 2.
문자인식 강좌 02. 문자영역 추출기법 - 1 첫 번째 소개할 문자 영역 추출 기법은 가장 고전적인 방법으로,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하여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모폴로지란 영상을 형태학적 관점에서 보고 접근하는 방법으로, 연산 결과를 눈으로 볼 수 있어서 이해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대표적인 모폴로지 연산의 예로는 침식(erosion)연산과 팽창(dilation)연산이 있다. 가. 침식(erosion)연산 침식연산은 연산의 이름에서 보듯 깍아나간다는 뜻으로, 정해진 영역(window) 내에서 가장 작은 값을 픽셀 중심부의 값으로 바꾸는 최소값(min)필터의 역할을 한다. 이진영상에서는 객체(object)영역을 흰색으로 볼 때 이들 영역이 줄고 검은색 영역이 늘어나며, 그레이영상(또는 컬러영상)에서는 밝은 영역이 줄고 어두운 영역이 늘어나는 .. 2010. 3. 2.
스키장 가고싶다 아무리 추운 날씨라도, 스키장에서 스키를 타는 그 순간 만큼은 땀이 범벅이 되었었는데. 추위에, 일에 지치는 요즘. 스키장 생각이 완전 많이 난다. 오래간만에 뒤적거리던 호영이의 옛 사진첩에서 미처 보지 못했었던 5년 전 내 추억들을 몇 장 꺼내왔다. 사진기만 들이대면 저렇게 오버를 하던 내 모습. 그때는 교수님도, 상걸이형도, 호영이도 사진에 푸욱 빠져있었는데.. 덕분에 내 모습이 찍힌 사진도 제법 있고, 또한 그 덕분에 이렇게 제법 오랜시간이 지난 지금에도 그때의 모습을 보며 추억할 수 있어 좋구나. photo by acaran 2010. 2. 5.
신혼2 한 집안의 귀한 딸로 자라온 한 여인이 한 남자의 아내가 되고, 한 집안의 살림을 관장하는 안주인이 되었다. 학원 선생님이라는 직업을 10년간 가졌었던 그 여인에게 가장 힘든 일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이었으니, 일찍 일어날바에 차라리 잠을 자지 않겠다던 그녀. 그런 그녀가 군인인 남편을 만나 이렇게 바뀌어가는 모습. 그런게 신혼의 달콤함이 아닐까? 매일 아침, 된장에, 미역국에 아침을 차려주더니, 오늘은, 잠이 부족한 나를 조금 더 재운다는 목적으로, 아침 도시락을 준비해 주었다. 딸기쨈이 발린 옥수수식빵, 바나나, 사과, 오렌지, 골드키위가 이쁘게 담긴 도시락, 그리고 따뜻하게 데워진 우유. 먹는 내내 행복하고, 하루 종일 든든할 수 있는 그런 정성의 도시락. 그 어떤 막중한 책임감도 다 짊어질 수.. 2010. 2. 4.